1. FOMC: 매파적 점도표, 비둘기적 기자회견
2. 엔비디아 4.81%↑
3. 유나이티드헬스(보험) 6.4%↓, 코로나 기간 억눌렸던 수술 수요로 인해 2분기에 의료 손실률 상승가능
해외시장마감
- 미국 증시
- DOW : 33,979.33p (-232.79p, -0.68%)
- S&P500 : 4,372.59p (+3.58p, +0.08%)
- NASDAQ : 13,626.48p (+53.16p, +0.39%)
- 러셀2000 : 1,874.10p (-22.24p, -1.17%) - 한국 관련
- MSCI 한국지수 ETF : $66.88 (-0.63, -0.93%)
- MSCI 이머징지수 ETF : $40.64 (+0.30, +0.74%)
- Eurex kospi 200 : 347.40p (+1.00p, +0.29%)
- NDF 환율(1개월물) : 1,272.26원 / 전일 대비 7원 하락 출발 예상
- 필라델피아 반도체 : 3,739.75 (+56.08, +1.52%) - 외환시장
- 달러인덱스 : 102.991 (-0.347, -0.34%)
- 유로/달러 : 1.0834 (+0.0041, +0.38%)
- 달러/엔 : 140.07 (-0.15, -0.11%)
- 파운드/달러 : 1.2664 (+0.0052, +0.41%) - 미국 국채시장
- 2년물 : 4.6943% (+2.8bp)
- 5년물 : 3.9944% (+0.4bp)
- 10년물 : 3.7900% (-2.3bp)
- 30년물 : 3.8749% (-4.5bp)
- 10Y-2Y : -90.43bp (5.14bp 역전 확대) - 국채선물
- 2YR T-Notes : 102*05 1/2 (-0*00, -0.03%)
- 5YR T-Notes : 107*24 1/4 (+0*01, +0.03%)
- 10YR T-Notes : 112*28 (+0*07, +0.19%)
- US T-Bonds : 127*00 (+0*20, +0.5%)
- Ultra US T-Bonds : 136*02 (+1*9, +0.95%) - 상품시장 ($, 단 곡물, 구리는 센트)
- WTI : 68.27 (-0.75, -1.08%)
- 브렌트유 : 73.20 (-0.72, -0.97%)
- 금 : 1,968.90 (-1.80, -0.09%)
- 은 : 24.11 (+0.18, +0.77%)
- 아연(LME, 3M) : 2,486.50 (+105.00, +4.41%)
- 구리 : 387.65 (+2.55, +0.66%)
- 옥수수 : 549.25 (-1.00, -0.18%)
- 밀 : 641.25 (-7.00, -1.08%)
- 대두 : 1,240.00 (+1.75, +0.14%)
미 증시, FOMC 이후 변동성 확대 후 파월 발언으로 낙폭 축소
미 증시는 생산자 물가지수가 예상보다 둔화되는 등 물가 안정 흐름을 이어갔으나 영향이 제한된 가운데 보합권 출발. 특히 헬스케어 업종 부진과 반도체 업종 강세 등 업종 차별화도 영향. 이런 가운데 연준이 FOMC를 통해 금리는 동결했으나 올해 말까지 50bp의 추가적인 금리인상을 시사하자 매물 출회되며 하락폭 확대. 그러나 파월 연준의장이 추가 금리인상이 필요하나 더 느리게 진행할 것이며 최고 금리에 거의 도달했다고 언급하는 등 비둘기파적인 발언을 하자 낙폭 축소되거나 상승 전환하며 마감(다우 -0.68%, 나스닥 +0.39%, S&P500 +0.08%, 러셀2000 -1.17%)
변화요인 : FOMC 결과와 의미 그리고 파월
특징 종목 : 의료 서비스주 부진 Vs 의료기기, 병원 업종 강세
유나이티드 헬스(-6.40%)가 팬데믹 당시 지연됐던 노인들의 무릎 및 고관절 수술에 대한 수요가 회복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치료비를 지불하는 비용 상승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매물이 출회되며 급락. 휴마나(-11.24%)를 비롯해 CVS헬스(-7.76%) 등 관련 종목을 중심으로 매물 출회되며 하락. 반면, 이를 제공하는 유니버셜 헬스 서비시스(+3.70%), HCA 헬스케어(+1.55%) 같은 병원 업종과 스트라이커(+4.20%), 짐머 바이오멧(+3.79%), 보스턴 사이언티픽(+4.20%)같은 의료기기 업종이 강세를 보이는 차별화가 진행.
AMD(+2.25%)는 전일 최신 AI칩을 발표한 후 하락했으나, 오늘은 아마존이 이의 사용을 고려하고 있다는 보도와 골드만삭스가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한 데 힘입어 상승. 엔비디아(+4.81%)는 AMD가 AI 산업 기대를 확대시킨 데 힘입어 상승세 지속. 마이크론(+1.84%), 인텔(+4.92%) 등도 강세를 이어갔으나 AMAT(-0.44%), 퀄컴(-0.83%) 등은 매물 소화하며 약세. 그러나 엔비디아 등의 힘으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.52% 상승
넷플릭스(+1.18%)는 울프 리서치가 공유 단속이 낙관적이라고 언급하고 바클레이즈는 목표주가를상향 조정하자 강세. 중국 전기차 업체인 리 오토(+7.34%)는 모건스탠리가 출하 데이터가 강하다고 언급하자 강세. 음식 배달 서비스 업체인 도어대시(-2.27%)는 일부 투자회사가 현재 수준에서 호의적인 주가 반응을 이끌기에는 충분하지 못하다며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한 여파로 하락.
Powell 의장 기자회견 주요 내용
- 거의 모든 위원들이 추가 기준금리 인상이 적절함에 동의
- 금번 기준금리 동결이 인상 중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. 다음 결정(7월 인상 여부)은 다음 번 회의에서 결정할 것
- 인상 속도와 금리의 레벨은 다른 이야기. 인상이 계속될 수록 점도표 중간값과 최종 기준금리 레벨 격차는 줄어들 수 밖에 없음
- 신용 여건 변화에 따른 경제 영향은 불가피
- 주거 관련 물가는 아직도 인플레이션에 중요한 부분. 그러나 시간이 걸릴지라도 물가는 안정될 것
- 지난 번 회의 때 논의했던 것 보다 추가적인 긴축이 필요하다는 판단. 연내 추가 인상이 적절
- 점도표 상향 조정은 경제 지표에 기인
- 은행 사테와 관련한 긴축의 효과를 논의하는 것은 시기상조
- 여전히 가장 중요한 것은 물가 안정이며, 이를 위해 연준은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취할 것
- 연내 기준금리 인하를 예상하는 위원들은 없음. 이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
2023년 6월 15일(목) 오늘의 관심테마
6월 15일(목) 오늘의 관심테마 AI (반도체, S/W) 엔비디아, 시총 1조 달러 클럽 안착 대형 : SK하이닉스, 삼성전자 엔비디아 : 이수페타시스 반도체 : 넥스트칩, 에스앤에스텍, 한미반도체, ISC, 미래반
world-currency.tistory.com
'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년 6월 16일(금) 지난밤 주요뉴스 (0) | 2023.06.16 |
---|---|
2023년 6월 15일(목) 오늘의 관심테마 (0) | 2023.06.15 |
2023년 6월 14일(수) 오늘의 관심테마 (1) | 2023.06.14 |
2023년 6월 14일(수) 지난밤 주요뉴스 (0) | 2023.06.14 |
2023년 6월 13일(화) 오늘의 관심테마 (0) | 2023.06.13 |
댓글